Ⅰ. 세계화 시대의 국토 인식
2013. 2. 12. 16:33
미래 유라시아의 교통망을 표시해 본 것입니다.
부산~로테르담 간의 기존 항로와 북극 항로 외에도 아시안 하이웨이 등을 표시하였습니다.
Ⅴ. 생산과 소비의 공간/01 자원
2013. 2. 12. 16:23
>>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중동의 몇몇 산유국에 의존하는 형태를 지양하고자, 동남아시아/남아메리카 등 세계 곳곳에서 석유를 도입해오고 있습니다.
**위 통계자료에서 <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석유 수입량은 감소하였다>라는 진술은 틀립니다. <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석유 수입량 비중은 감소하였다>가 맞는 표현입니다.
[지오아카이브...GeoArchive]
::cafe.naver.com/geoarchive::지리관련 통계지도/통계자료
'Ⅴ. 생산과 소비의 공간 > 01 자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도별 1차 에너지 생산량과 소비량/한국지리 자원/지역별 에너지 (0) | 2013.02.14 |
---|---|
우리나라 1차 에너지 소비 지수의 변화(1990년을 기준 연도로) (0) | 2013.02.12 |